우리 일상에서 흔하게 보이는 태권도이지만 아이들이 많이 다니는 이미지로 굳혀진 운동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사실 살펴보면 태권도는 우리나라의 전통 운동으로서 육체적인 수양뿐만이 아니라 정신 수양에도 도움이 되며 성인반을 운영하는 태권도도 더러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 운동인 태권도의 본질을 담아 지도하고 있는 용인대 팔달태권도장 손승보 관장님과 이야기를 나눠 봤다.
Q. 용인대 팔달태권도장의 창업 취지를 말씀해 주십시오.
A. 책상 앞에 있는 것 자체가 많은 체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기초 체력을 길러야 학부모님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국영수와 같은 필수과목을 아이들이 꾸준하게 공부해 낼 수 있다.
하지만, 일부 학부모님들은 이러한 체력에 대해 가볍게 생각하시는 경우가 더러 있다. 아이들이 자신들의 신체를 단련하게 되면 자신감뿐만 아니라 집중력과 자기 통제력을 길러 건강한 일상생활을 이어갈 수 있다. 아이들에게 이러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태권도장을 창업하게 되었다.
Q. 용인대 팔달태권도장의 주요 서비스 분야를 소개해 주십시오.
A. 우리 용인대 팔달태권도장에는 아이들뿐만이 아니라 성인까지 남녀노소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먼저 아이들을 위해서 K-POP을 이용해 음악줄넘기를 진행하고, 특히 인성교육이 날이 갈수록 강조되고 있어 ‘바람직한 인성을 갖춘 좋은 성인으로 성장하자’를 목표로 해서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인성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를 한 층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족 태권도, 또는 운동 부족으로 인해 체력이 부족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오전 오후 각 3타임으로 편성하여 성인부 개별지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Q. 운영에 있어 가장 우선으로 보는 가치관이나 철학이 있다면
A.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태권도는 ‘跆:발, 拳:주먹, 道:성품’으로 ‘주먹, 발 등을 활용한 무술을 통해 인간이 가야 할 올바른 성품을 배운다’라는 의미를 품고 있다. 이는 단순히 무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몸과 마음을 같이 수양한다는 의미로 우리 용인대 팔달태권도장에서는 이러한 진정한 뜻을 따라 ‘하루 중 가장 건강한 1시간’이라는 교육 목표를 설정하여 운동을 통해 육체뿐만 아니라 정신 수양을 통해 자신을 성장시킨다.
이러한 성장을 바탕으로 다른 사람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생활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더 나아가서 태권도의 진정한 의미를 프로그램에 녹여 태권도의 본질을 잊지 않고 계승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 있다.
Q. 현재의 사업장을 만들 수 있었던 노하우나 비결이 있다면
A. 저는 어렸을 때부터 동네에서 ‘운동 바보’ 소리를 들으며 운동만 했다. 스스로 태권도 단련에만 몰두하며 ‘태권도’ 자체를 잘하는 것만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살아왔다. 하지만 사범을 하게 되면서 이러한 생각은 크게 바뀌게 되었다. 태권도장은 ‘태권도’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과 부모님의 마음을 빠르게 정확히 읽어내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사범 생활을 하는 동안 항상 관장님께서 도장을 운영하는 노하우를 배우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태권도장을 차리게 되었고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늘 아이들과 부모님들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분들이 만족하고 행복해하는 태권도장으로 키워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Q. 향후 목표가 있다면
A. 대부분의 사람들은 태권도장에는 유치부, 초등부를 위주의 공간이라고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의외로 수많은 태권도장은 모든 연령을 아우를 수 있는 다채로운 수업과 프로그램을 마련한 곳도 있다. 특히나 우리 태권도장 같은 경우 성인뿐만이 아니라 실버 태권도까지 활성화할 수 있게 노력하고 있다.
Q. 독자에게 한 마디
A.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운동인 태권도의 위상이 더더욱 높아질 수 있도록 태권도에 대한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나 또한 지도자가 갖춰야 할 소양을 더더욱 단련하며 아이들부터 성인까지 남녀노소 모든 연령대를 아울러서 함께 태권도를 즐길 수 있도록 성장해 나가겠다.
<저작권자 ⓒ 밸류업뉴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CEO 많이 본 기사
|